중국 코로나 백신 세계화 임박...효과는 의문 투성이지만

세계보건기구, 2개의 중국 백신 리뷰 돌입...조간만 결론날 예정
하지만 공개된 데이터가 너무 부족하다는 게 결정적 문제

이현주 기자 승인 2021.05.05 19:52 의견 0
사진=픽사베이


세계보건기구가 중국의 코로나 백신 2종에 대해 긴급사용승인을 내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저개발국 중심으로 중국 백신이 뿌려질 가능성이 생긴다.

과학자들은 수주안에 승인이 나게 될텐데 그렇게 되면 중국 백신에 대한 신뢰가 크게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은 5개 정도의 백신을 갖고 있는데, 주로 저개발국 중심으로 접종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방글라데시의 한 전염병 전문가는 “중국 백신에 대한 수요가 대단히 크다”고 말한다.

두 개중 하나는 중국 국영회사 시노팜에서 만든 백신이며 코로나백으로 불린다. 나머지 하나는 민간기업에서 만든 건데 이름은 시노백 이다.

이것들이 승인을 받게되면 모두 5개의 백신이 세계보건기구로부터 승인을 받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들 백신은 비활성화된 바이러스를 사용해서 만들어진 건데 서방세계에서는 쓰이지 않는 방법이다.

시노팜과 시노백의 백신들은 중국에서 대량 접종에 사용됐다. 현재까지 2억4300만명에서 접종됐다. 45개국에서 사용승인을 받았지만 세계보건기구가 처음으로 제대로 된 리뷰를 하게 되는 셈이다.

산티아고대학 라파엘 아라오스 전문의는 “세계보건기구 승인이 매우 중요하다”며 만약 승인을 받게 되면 백신 개발자들이나 저개발국가들에게 매우 좋은 뉴스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백신부족에 대한 대안

방글라데시의 한 전문가는 세계보건기구의 승인절차는 안정성 효용성 제조적합성 등을 따지게 된다고 전한다. 승인된 백신은 UN기구들이 사게 된다.

그렇게 되면 현재 저개발국 중심으로 빚어지고 있는 백신 부족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만들어진 코백스를 통해 뿌려지게 된다.

코백스는 현재 경우 5000만 접종분 정도만 공급한 상태다. 올해 목표는 20억 번 접종분이다. 인도에서 생산돼 공급될 분량이 10억 회 접종분인데, 현재 인도의 전염병 창궐로 인도에 묶여 있는 상태다. 화이자 생산분은 매우 제한적으로 코백스에 전달되고 있으며 존슨인존슨 생산분을 전혀 공급되지 않고 있다. 모더나 백신은 4월30일에서야 승인 받았다.

인도의 한 전문가는 “중국 백신이 지금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한다.

비활성화된 바이러스를 이용한 백신은 일반적으로 덜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의 긴급사용 허가 기준인 50%는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백신을 구할 방도가 전혀 없다면 이 정도의 효과도 매우 중요하다는 게 저개발국가들의 생각이다.

중국 백신 효과에 대한 데이터 부족

중국 과학자들이 코로나 백신 개발에 제일 먼저 나섰지만 실험 결과를 제대로 발표하지는 않고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투명성 부족이 접종 거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작년 겨울 아랍에미레이트와 바레인이 중국 백신을 승인했다. 이 승인은 3만1000명을 대상으로 한 결과에 의한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 중국 백신 2번 접종이 86%의 효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브라질과 터키에서의 임상실험에서는 50.7%, 83.5%로 나왔다. 칠레에서는 67%가 나왔다.

중국의 백신 외교

중국은 자국민에 대한 접종을 연내 14억명까지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백신이 비교적 강력한 보호막을 제공하고 있으며 부스터샷을 통해 보다 강력한 보호막 제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한다.

중국은 이미 40개국 이상에서 중국 백신을 뿌리고 있다. 중국은 올해 30억 내지 40억 접종분을 생산할 계획이다.

많은 나라들에서 중국 백신은 현재 유일하게 접근 가능한 상태다. 브라질 터키 칠레 등에서 연구자들은 중국 백신이 펜데믹을 제어하는 데 있어 효과를 내고 있다는 증거를 발견하고 있다.

상파울로 대학 연구진은 “중국 백신을 맞은 사람들에게서 감염이 적고 증상이 심하지 않았으며 사망자도 줄고 있음을 보게 된다”고 전한다. “중국 백신이 있으니까 중국 백신을 맞는 것”이라는 연구진은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고 말한다.

세계보건기구가 중국 백신을 승인하게 되면 많은 나라에서 중국 백신에 의지하게 될 것이라는 건 명약관화하다.

하지만 많은 의문들이 중국 백신들에 따라 붙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백신이 고령자 어린이 임산부 등에 어느정도 효용이 있는지 알고 싶어한다. 또 중국 백신이 어떤 기전으로 면역을 형성하게 해주는지 알고 싶어 한다. 그들은 또 중국 백신을 통한 면역이 어느정도 지속될지 궁금하다고 한다.

저작권자 ⓒ 지속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